한국의 나이 문화
한국 여행이나 한국 드라마, K-POP 아이돌에 빠지다 보면,
“한국은 나이를 세는 방법이 다르다던데?” “’오빠’는 연인한테만 쓰는 말이야?”
와 같은 의문을 문득 가져본 적이 있지 않나요?
사실 한국에는 일본과는 조금 다른 ‘나이 문화’와 ‘호칭 규칙’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인이라도 헷갈리지 않도록,
한국인과의 교류에 도움이 되는 나이와 호칭 문화를 【5가지 포인트】로 나누어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① 세는 나이? 만 나이? 한국의 나이 계산법

한국의 나이 문화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세는 나이’**라는 독특한 나이 계산법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방식은 일본의 옛날 계산법과도 비슷한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태어나는 순간 1살(태아 기간을 1살로 계산)
- 매년 1월 1일에 모두가 동시에 1살을 더함
예를 들어, 2024년 12월 31일에 태어난 아기는 다음 날인 2025년 1월 1일에 이미 **‘2살’**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국제적인 기준에 맞춰 ‘만 나이’(일본과 같은 계산 방식)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 한국 정부는 법률이나 공문서에서는 기본적으로 **‘만 나이’**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대화나 술자리 등에서는 여전히 ‘세는 나이’로 나이를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대화 중에는 **“한국식으로는 ○살이야”**라고 덧붙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② 나이가 인간관계를 결정한다? 위계질서의 중요성
한국 사회에서는 나이가 인간관계에서 ‘위계 관계’를 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처음 만난 자리에서도 “몇 년생이에요?”라고 서로의 나이를 확인하는 문화가 있습니다.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는 반드시 존댓말을 사용하고, 행동에도 배려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 술을 따를 때는 윗사람에게 반드시 두 손을 사용함
- 반말은 기본적으로 아랫사람이나 친한 또래에게만 사용
일본에서도 윗사람에게 존댓말을 쓰는 문화가 있지만, 한국에서는 단 1살 차이만 나도 위계가 분명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훨씬 더 의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③ 호칭의 다양성: 가족 외에도 쓰이는 ‘오빠’, ‘누나’
한국어에서는 상대방의 나이나 관계성에 따라 부르는 호칭이 세밀하게 달라집니다.
특히 일본인에게 혼란스럽기 쉬운 것이 바로 ‘오빠(오빠)’나 ‘누나(누나)’와 같은 호칭입니다.
호칭 | 발음 | 의미(사용 대상) |
---|---|---|
오빠 (オッパ) | oppa | 여성이 나이 많은 남성을 부를 때 사용 (오빠, 남자친구) |
누나 (ヌナ) | nuna | 남성이 나이 많은 여성을 부를 때 사용 (누나) |
형 (ヒョン) | hyung | 남성이 나이 많은 남성을 부를 때 사용 (형) |
언니 (オンニ) | eonni | 여성이 나이 많은 여성을 부를 때 사용 (언니) |
포인트는, ‘혈연 관계가 아니어도’ 이런 호칭들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여성이 친한 나이 많은 남성을 향해 “오빠~!”라고 부르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연인 사이에서 애칭처럼 쓰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형제자매 관계나 친구 관계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반대로 일본어처럼 ‘이름+상(さん)’ 으로 부르는 문화는 한국에서는 거의 없습니다.
④ 반말로 전환하는 타이밍은? 의외로 어려운 규칙

‘친해지면 말 놓자(친해지면 반말하자)’라는 표현처럼,
한국에서는 서로 합의가 있어야만 **반말(タメ口)**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같은 또래끼리라도 처음 만날 때는 존댓말을 사용하며,
“우리 말 놓을까? (반말로 할까?)”라고 확인한 뒤에야 반말로 전환하는 것이 매너입니다.
이런 확인 없이 갑자기 반말을 쓰면 무례하게 여겨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⑤ 실제 대화에서 유용한! 나이·호칭 표현 모음
마지막으로, 한국인과의 교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표현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 몇 살이에요? (ミョッサリエヨ?) = 몇 살이에요? / 몇 살입니까? (몇 살이에요?)
- 몇 년생이에요? (ミョンニョンセンイエヨ?) = 몇 년생이에요? / 몇 년도에 태어났어요?
- 언니라고 불러도 돼요? (オンニラゴ プルロド テヨ?) = “언니”라고 불러도 될까요?
- 저보다 나이가 많으세요? (チョボダ ナイガ マヌセヨ?) = 저보다 나이가 많으세요?
이런 표현들을 능숙하게 사용하면, 현지인과의 거리가 훨씬 가까워집니다!
정리: 나이 문화를 알면 한국이 더 즐거워진다!
일본과 다른 나이 계산법과 호칭 문화를 이해하면,
한국인과의 관계가 훨씬 원활하고 깊어집니다.
특히 말투나 호칭 규칙은 작은 배려로 상대에게 좋은 인상을 주는 포인트입니다.
한국 여행이나 한국인과의 교류 전에 이 글을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주요 단락 목록
